반응형

Ⅰ. 서론

사회복지실천기술에 있어서 나-전달법, 반영, 명료화, 바꾸어 말하기, 예외질문, 척도질문, 기적질문 등이 있다. 이를 통해서 사회복지사는 내담자와 라포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통해서 본론에서 이런 기술에 대한 간략한 정의와 그예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나-전달법

 

상대방에게 나의 감정이나 의도를 구체적으로 진술하는 대화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방법을 사용하면 나는 상대방에게 나의 감정이나 의도를 정확하게 말하게 되고 상대방 또한 나의감정이나 의도를 또fut하게 이해하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 

예를들면 평소 나에게 짜증을 잘내는 친구에게 나 전달법을 사용했다. 예 00아 나는 너에게 항상 잘해준다 생일이면 축하한다고 연락도하고 잘보내라고 맛있는 케익같은거도 기프트 콘을 주잖아 근데 요즘 니가 짜증나는 말로 나에게 말 할 때 너무 화가난다. 특히 싫으면 말던가 하는 말이야. 그러니까 앞으로는 그런 말 말고 이유를 설명해주면 내 기분이 나을 것같다.

 

또 다른 예를 들면경상도 아버지인 무뚜뚝한 표현을 하시는 아버지에게 나 전달법을 사용했다. 아버지 오늘 일하고 오셨는데 밥은 드셨어요? 요즘 아버지 따라 아버지와 대화하고 싶어요. 저도 나이가 들고 정신적으로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데 아버지랑 대화하면서 새로 생길 미래의 자녀들과 대화하는 법을 배우고 싶고 아버지랑 시간을 더 보내고 싶어요. 앞으로 아버지와 대화자주해요 제가 더 노력할게요 사랑해요

 

2.적극적 경청 반영법

반영은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있어서 표현된 기본적 태도나 감정을 상담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사용해서 상담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내가 학원에서 숙제가 많아 힘들다고 말했을 때 사회복지사는 그말에 있어 동조를 하나 새로운 방법인 숙제를 다하면 역량이 좀 늘어나겠지요라고 말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이성 친구 문제로 어려움이 있는 친구가 야 내 여자친구가 짜증을 시도 때도 없이 부린다라고 말하면, 여자친구가 짜증이 많아서 힘들겠구나 하고 동조를 해준 뒤에 무슨 이유가 있겠지 하고 여자친구를 잘 타이르고 나중에 대화를 통해서 그 문제를 찾아봐라고 말하는 방법이다.

 

3. 적극적 경청명료화

명료화란 내담자의 언어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것들을 다시 상담가가 명확하게 설명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집에서 부모님에 내가 늦게 집에 들어가면 요즘 바쁘니? 귀가가 늦네 일찍 들어다녀라라고 말하신다 요즘 집안 일이 많다. 그럴 때 명료화 기법을 사용하면 아 요즘 집안일을 도와주길 바라시는 거죠? 라고 말하는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동생이랑 있는데 저녁밥이 없어 시켜먹야하는 상황이였다. 나는 그것도 모르고 티브이만 보고있었는데 오빠야 배가고프다 집에 먹을 것게 있나라고 말했다. 그 소리를 듣고 나는 아 동생아 지금 배고프나보네 집에 먹을게 없나보네 뭐 먹고 싶은거 있나라고 물어 본 것이다.

 

4.적극적 경청 바꾸어 말하기

바꾸어 말하기란 내담자의 언어적 표현을 보다 간결하고 직설적으로 바꾸어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동생이 나에게 오빠는 평소에는 잘 챙겨주는데 오늘 바빴나보네라고 한 말이다. 이말을 직설적으로하면 오늘은 왜 안챙겨주냐는 말이다.

나는 내 생일을 잊고 미역국을 안차려주신 어머니께 어머니 요즘 바쁘시네요라고 말했다.

바쁘시다는 말이 미역국을 왜 안차려 주셨나를 돌려말한 것이다. 직설적으로 말하면 서로에게 상처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5. 예외질문

예외질문이란 알지지 못했던 예외를 발견하고 그것을 강조하면서 내담자의 역량을 강화하는방법을 의미 뜻한다. 

예를 들면 나의 친구는 항상 동생들과 다투기를 반복한다. 친구를 대상으로 예외질문을 사용했다. 내가 듣기로 너는 자주 동생과 싸운다고 하는데, 안 다툴 때는 언제고?

밥먹을 때는 잘지내는 것같다

왜 밥먹을때는 동생과 안 싸우는 것 같노?

밥먹을 때는 동생한테 신경 쓸 겨를이 없어서 그런거 같은데

맞다 동생한테 신경을 너무 많이 쓰지 않는게 답인거 같다. 동생도 이제 성인인데 자기 일은 혼자서 알아서 할 수 있잖아라고 말해주었다.

또다른 예로는 동생이 오빠 나 요즘 의욕이 없다라고 말했다. 요즘 왜 의욕이 없지 라는 질문에 힘이 없어서 그런거 아니니? 요즘 일한다고 지쳐 보이는데 운동을 해보는게 어때라는 질문을 던졌다.

 

6. 척도질문

 

척도질문이란 숫자를 활용하여 내담자에게 문제에 대해 표현토록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내가 엄마랑 생선을 사러 갔을 때이다. 엄마가 내가 고른 생선이 약간 신선하지 않은거 같다.라는 말을 어려번 반복했을 때이다. 그래서 내가 엄마 이건 어떤점에 있어서 신선하지 않은거 같노? 이건 만약에 100이라고하면 몇점 짜리 생선이고? 몇점 짜리 생선을 원하는 대 라는 질문을 했다.

또다른 예로 친구가 나에게 나를 얼마나 좋아하냐고 물었다. 하늘만큼 좋다고했다. 그게 얼마냐고 구체적으로 물었다. 나는 시험 점수에 비유하며 100점 만큼 좋다고 했다. 

 

7. 기적질문

기적질문이란 내담자가 그들의 문제가 극복되었다고 상상하게 한뒤, 그 이후의 상황이나 삶을 상상하게 하는 질문방법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친구에게 니가 좋은 직장을 가지고 나서 그 이후의 삶을 상상하게 하는 질문을 했다. 구체적으로 니가 열심히 이직 준비를 하고 있잖아 그러니까 곧 좋은 직장을 갖게될거야 아마 삼성에 들어가면 월급이 500은 되겠지?라고 말했다.

또다른 예로 동생이 오빠 나 요즘 직장에서 상사가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줘. 그래서 나는 너 지역 이전을 할 수 있잖아 다음해면. 다음해 그걸 신청해서 지역을 옮겨봐 그러기 위해서 지역신청 점수를 많이 쌓아야겠지?라고 말했다.

 

Ⅲ. 결론

사회복지실천기술을 방법들을 간략하게 보고 실례를 들어 파악해보았다. 이들 방법은 생각보다 실상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실천되고 있다. 그런 기술을 통해서 사회복지사와 내담자의 라포관계를 형성하고 내담자의 장점을 알게해주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래서 일상생활에 있어서 이런 기술들을 적용하고 연습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Ⅳ. 참고자료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이해 엄명용, 노충래 외 1명 저 학지사2008.01.25.

 

https://tlswnrhd314.tistory.com/41

 

정신건강론 강의 시간에 배운 내용과 교재를 참고하여 자신의 정신건강에 대해 서술하시오.

1. 서론 온라인 정신건강론 수업으로 나는 정신건강에 대한 기준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건강을 유희하는 방법들과 그에 대하여 공부를 했다.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사람들은 항상 독립적이고 능동적이며 매사에..

tlswnrhd314.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