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온라인 정신건강론 수업으로 나는 정신건강에 대한 기준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건강을 유희하는 방법들과 그에 대하여 공부를 했다.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사람들은 항상 독립적이고 능동적이며 매사에 적극적이다 하지만 정신건강이 안 좋은 사람들은 언제나 주위에 의지하거나 문제들을 회피하고 소극적으로 대처하다 정신건강을 잃는다. 이러한 문제를 방치해 사회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참조하여서 나의 정신 건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본론
1)정신건강의 정상적인 기준 조건
첫째로 정신건강이 좋은 사람들은 위와 마찬가지로 조화로운 삶을 영위한다. 또한 자신의 삶을 건강하고 적극적으로 생활한다. 또한 문제에 맞닥뜨리더라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과 신념을 가진 사람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이들은 자신의 삶 자체를 회피하고 소극적인 생활을 한다. 이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아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큰 문제를 지닌다.
둘째로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사람들은 본인 스스로를 자신 그래도 인식하고 자각하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해 정신건강이 않좋은 사람들은 자신을 자기 스스로 왜소하고 왜곡해서 현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이다.
셋째로 정신건강이 좋은 사람들은 자기 스스로 자기를 의식화 한다. 그래서 능동적으로 행동하기기 때문에 어떤 문제에 있어서 때로는 자신의 자아개념을 수정하더라도 외부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게 된다. 또한 스스로의 자아를 인정하고 더 높은 수준의 성장을 기대 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가능성이 높고 자아실현의 동기를 강하게 가진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넷째. 정신건강이 좋은 사람들은 정신적으로 발란스를 가지고있다. 그래서 스트레스상황 속에서도 간편하게 안정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 행동의 결정과정에서 자율적으로 행동하고 독립적인 행동에 통제하는 자율성이 매우 우수하게 보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정신건강이 좋은 사람들은 자신의 환경에 피지배 성향을 띠는 것이 아니라자신의 환경을 지배할 수 있는 사람으로나타난다. 또한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이 높고 조정능력도 있기 때문에 문제해결능력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자신의 발달 과정에서의 문제점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무슨일을 해야하는가? 어떻게 나의 미래를 꾸려가야하는가?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어떤일을 할지라는 고민과 돈을 하루 빨리 벌어야한다는 부담감에 앞어서 스트레스를 받았다. 또한 미래를 위한 대처를 해야한다는 사실에 대해서 고민이 많았다. 결국 그러한 과정들에 있어서 아르바이트 외국에서의 생활들을 통해 지금은 사회복지사로의 진로를 선택하고 매진하는 중이다.
이러한 선택과 시행착오에 있어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다. 경제적으로 궁핍을 통해 집에 대한 걱정과 밥을 먹지 못하는 어려움 까지 고민했다. 그래서 위장병에 걸리기도 하였다. 이런 문제가 있을 수도 수업내용과 같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해야하나 상황이 상황인지라 자꾸 소극적으로 사회를 보게 되고 부정적으로 사회를 보게 되었다. 그러니 가족과 친구들과의 관계가 자연스레 멀어지고 나 혼자 고독한 생활을 하게된 것 같다. 이런 순환이 악순환 되었다.
결국 내가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는 것 같지만 운동을 통해서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한 번 도전 해봐야 겠다는 마음이 생겼다. 위장병은 꾸준한 식단관리와 스트레스를 덜 받겠다는 마음 가짐을 통해 극복하는 중이다. 또한 수업에서 알게된 새로운 방법들을 통해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생활하는 중이다.
3. 결론
지금 까지 수업시간에서 배운 내용들을 통해서 나의 정신건강 상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나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내가 닥친 문제 어떤 일을 할까 하루빨리 돈을 벌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로인해 많은 시행착오와 위장병까지 얻게된 나의 모습을 바라 보았다. 하지만 운동을 통해서 자신감을 갖고 새로운 진로인 사회복지사를 되기로 마음 먹고 이에 매진하고 있다. 그러던 중 정신건강론을 통해서 나의 문제를 학문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구체화 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러 문제에 대해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시각을 통해 해결해야한다는 점을 배웠다. 그래서 앞으로 나의 정신 건강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을 얻고 더나아가 훌륭한 사회복지사가 되어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분들게 도움이 되야 되겠다.
참고문헌
정신건강 이야기 (성숙한 마음, 성숙한 사회를 위한 의학심리) 이부영 저 | 집문당 | 2014.11.20
https://tlswnrhd314.tistory.com/43
노인에 대한 보건·복지조치, 노인복지시설 등에 대해 구분하여 제출하시오.
1 서론 우리 사회의 약자는 아동과 노인이 있다. 각기 자기 힘으로 생계나 생활을 하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들을 보호해야한다. 그래서 우리 사회는 이들을 위한 복지정책이 필요하다. 아동들은 대게..
tlswnrhd314.tistory.com
'사회복지사관련정보 > 사회복지사 2급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어진 케이스를 읽고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두 가지 이상의 상담모델을 적용하여 사정하고 서비스 목표를 서술하시오 (0) | 2019.11.08 |
---|---|
사회복지조사 과제 주제연구계획서 작성하기 (0) | 2019.11.04 |
사회복지정책 중 택일하여 할당(누가 정책의 대상자인가), 급여(어떤 형태로 급여가 지급되는가), 전달체계(누구에 의해 정책이 운영되는가), 재정(정책의 재정은 어떤 방법으로 마련되는가).. (0) | 2019.11.02 |
노인에 대한 보건·복지조치, 노인복지시설 등에 대해 구분하여 제출하시오. (0) | 2019.10.31 |
내가 부모라면 따돌림(왕따)당하는 자녀를 위해 어떤 방법을 쓸 수 있을지에 대해 조사하고 적어보시오. (0) | 201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