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서론

요즘 학생들 사이에서의 문제는 친구들간의 따돌림이다. 따돌림 즉 왕따는 매우 위험하다. 왕따는 여러명의 학생들이 한명의 학생에게 집단 적인 괴롭힘을 뜻한다. 이는 간단하게는 그 학생들과 어울리지 않는다. 심하게는 이유없는 폭행을 통해 괴롭힌다. 이는 일 대 일의 상황이 아닌 집단 대 한 개인으로 이를 개인이 극복하기 힘들기 때문에 더욱 힘들다. 그리고 자아가 완전히 형성되 있지 않은 청소년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에 큰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한 개인의 죽음이 적게는 그들의 가족, 해당 학교를 통해 전파 되어 전반적인 사회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관심이 필요하다.

그래서 왕따 를 당하는 학생들을에게 도움을 주위해서 가깝게는 가정에서부터 더 나아가서는 학교 선생님 경찰 등이 있다. 그중에서 나는 가정에서의 역할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이 학교보다 근원적으로 자녀에게 교육을 시키는 1차적인 역할을 하는 공동사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아이의 사고나 생활 성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요즘 맞벌이 핵가족, 이혼가정 등 가족의 분화로 인해 가정에서의 교육의 역할이 미미하다. 그래서 청소년들은 가정의 교육적인 역할과 가정에서 느껴야할 감정 등 다방면에서 가정의 기능을 온전히 받지 못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방법들을 알아보고자한다.

 

2. 본론

내가 부모라면 따돌림(왕따)당하는 자녀를 위해 어떤 방법을 쓸 이유.

먼저 왕따를 당하는 아이들은 보통 자신감이 결여된 아이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동기나 청소년 시기에 있어서 자아의 개념은 그들의 사회성과 인성을 발달 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요즘 사회적인 문제로 인해 가정에서의 역할의 손실이 이와 갖이 자신감이 결여된 아이들이 낳게 되었다. 하지만 이를 보완해야하는 학교에서 학생들사이에서 이러한 역할을 못하고 있다. 그래서 근본적인 원인이되는 가정에서 역할이 충족하다면 왕따의 시발점을 없앨 수 있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부모라면 따돌림을 당하는 자녀를 위해서 자신감을 심어주고 정서적 안정감을 취해줄 것이다. 자아의 개념은 고정적인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사회 속에서 연속적인 경험의 결과로 다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인이 부모라 할 때 따돌림(왕따)를 당하는 자녀를 위한 방법 

 

첫째 자아존중감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먼저 나는 자녀들과 많은 시간을 가질 것이다. 시간이 나지 않는다면 나의 부모 즉 아이들의 할머니댁이나 외가로 보낼 것이다. 즉 나와 자녀들과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나 그렇지 못하면 가족의 테두리 안에서 정서적인 안정감과 자신이 사랑받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통해 자아를 형성시켜줄 것이다.

나조차도 청소년기에 나의 비밀들과 고민들을 얘기하거나 나눌 수 있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자아가 불안정한 모습이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녀들과 많은 시간을 가지며 자주 대화하여야 한다. 그래서 자녀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와 그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내가 부모로서 도와 줄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서로 대화와 시간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자녀와의 충분한 관심으로 애정을 가지고  대화를 나누면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왕따를 예방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회복하여야 한다. 우리 현대 가정들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핵가족화 부부의 맞벌이로 인하여서 가정에서 해야할 많은 역할을 못하고 있다. 앞에서 봤듯이 감정적인 요소가 많이 부족 했다면, 이번에는 가정에서의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역할에 대해서 말해 보고자한다. 요즘에 가정에서는 자녀에 대한 교육관에 있어서도 오직 좋은 점수를 얻어서 출세가 보장되는 명문대 학교에 진학하기 위한 입시위주의 과도한 교육열을 지향하고 있다. 이같은 문제가 학생들에게 부모는 나에게 압박을 주는 사람이라는 인식과 가정에서 해야할 본래의 교육을 학원이라는 곳에 방치하고 있다. 학원에 보내더라도 기본적으로 타인에 대하는 태도와 사회성을 스스로 알게 하기보다는 가정에서 가르쳐주어야한다. 결국 인간도 사회적인 동물임을 간과하여서는 안된다.

  

셋째 청소년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을 지도하여야 한다. 이는 사회성을 기르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의 방법이다. 앞서 보았듯이 왕따를 당하는 자녀들은 밖으로 나가지 않은 채 자기 방에서 게임이나 인터넷에 빠져 자칫 게임중독 등에 걸릴 수 있는 기제가 다분하다. 사회성 부족과 자아의 불형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현대에는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발달로 혼자서 있는 시간이 더욱 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건전한 여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동등한 위치에서 생활하고 사회서을 기를 수 있는 여가 생활을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의 3가지 방법들을 통해 아이들은 먼저 자아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기본적인 안정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건전한 여가 생활과 사회성을 길러 왕따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을 받을 것이다.

 

결론

위의 내용들을 통해서 왕따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어떻게 하면 이를 극복해야하는 방법들을 보았다. 왕따를 통해 우리 사회는 병폐해 지고 있으며 그에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가정에서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사회의 근간인 가정이 튼튼해야 우리 사회가 건전하게 유지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왕따 문제에 있어서는 그 근간이 가정에서의 자녀들에 대한 대화 교육적인 지도 건전한 문화생활들을 통해서 올바르고 정확한 자아의 성립을 통해 왕따가 아닌 사회성을 기르게 도와 건전한 사회를 이룰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신성옥, “학교폭력 실태와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연구”, 군산대, 2004

반응형

+ Recent posts